강렬한 엑스터시를 참을 수 없는 민아가 입술을 깨물며 진절머리를 친다.
그리고 호성의 머리를 위로 끌어 올리며 열기에 젖은 촉촉한 목소리를 흘린다. 10년 전 그때도 이랬던가.
새삼 호성과 민아는 예전의 그 밤들을 떠올린다. 지금보다 훨씬 젊었을 두 사람이었다.
돌이켜보면 더 격렬하긴 했지만 지금보다 감미롭지는 않았음이 분명했다.
따로이 보내며 흘려보낸 세월만큼 더 농익은 여체와 그 세월만큼 훨씬 더 노련해진 남자의 손길은
두 사람을 새로운 세상으로 인도하고 있었다. 간간히 흐르는 신음소리, 그리고 그 신음에 따라
움직이는 몸짓은 이 밤을 더욱 황홀하게 만들고 있었다.
하게 반응하자는 것이었다.
“민아구나, 반갑다.”
고개를 돌려 그녀를 보며 건넨 말은 그게 다였다. 그 말을
끝으로 둘은 다시 입을 닫았다. 그리고 서로를 바라보기만 할
뿐이었다. 뭐라고 해야 하나? 마치 어제 만나고 오늘 다시 만
를 생각하면 그 정도는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왠지 넌 잘 지내지 못했다는 소리처럼 들린다. 돈 많은 치
과 의사랑 결혼했으니 잘 먹고 잘 살아야 하는 거 아닌가.”
말을 하면서도 자신의 말 속에 뼈가 있음을 깨닫고 있었다.
민아의 눈에 슬픔이 언뜻 묻어난다.
난 것 같은 느낌에 휩싸인 둘이었다. 잠시 그렇게 바라보던 사
“잘 먹고는 살아. 그게 잘 사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이에 일어난 정적은 그녀에 의해 깨졌다.
“그게 잘 사는 거지. 얼굴 보니 누가 봐도 잘 살아온 티가 나
“그랬구나. 잘 지냈구나.”
마치 자신은 그렇지 못했다는 말투처럼 들렸다. 그게 반가
는데 뭐.”
“그런가보다. 근데 여긴 어쩐 일이야?”
웠다고 말하면 나쁜 놈이 되는 걸까. 그러나 그렇게라도 위안
“발령 받았어. 그때처럼.”
받아야 했다. 호성 자신은 그 이별 이후 몇 년을 시달려야 했
“그렇구나. 참 결혼은?”
던 걸 떠올리며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자신이 받은 상처
“운 좋게 했어.”
“그렇구나.”
그녀의 말에서 느껴지는 서운함이 왠지 괘씸하다. 자기는
결혼을 했으면서 정작 난 결혼을 못하기를 바란 것처럼 들렸던
까닭이다. 만약 그녀가 웃으면서 그 말을 했다면 정말로 괘씸
해서 뒤도 안 돌아보고 인사만 하고 떠났을 텐데, 그게 아니었
단 사실이 호성의 발걸음을 묶어두었다. 이젠 무슨 말을 해야
하나?
“아직도 여기 사나 보네. 시간이 늦었는데 집에 안 가? 남편
이 기다릴 텐데.”
“남편? 헤어졌어.”
그 말이 왠지 반가웠다. 그러나 한편으론 짠하기도 했다. 그
렇게 된 거였나. 하긴 애정 없는 결혼이었다. 누가 뭐래도 그때
의 그녀와 호성은 뜨겁게 사랑했으니까. 그 사랑을 걷어차 버
리고 떠난 건 그녀였지만 그게 그녀의 뜻이 아니었음을 누구보
다도 잘 아는 호성 아닌가.
“어쩌다?”
“그렇게 됐어. 호성씨는 잘 살아? 당연히 그렇겠지. 원래 자
상한 사람이었으니까.”
“그냥 남들처럼 살아. 가끔씩 싸우고 가끔씩 사이좋게.”
“그래. 그럴 거야. 내가 아는 호성씨라면.”
다시 말이 끊어진다. 더 이상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는
56 January 2016 S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