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first Magazine MAXIM_2017_05_new | Page 58

sex
내가 아는 가장 이기적인 사람 , 가장 이상한 사람 , 가장 유치한 사람 , 가장 말이 안 통하는 사람 . 각각을 떠올려보니 전부 나의 전 남자 친구들이다 . 못 견디게 좋아서 만나기 시작했고 우린 어쩌면 이렇게 잘 맞을까 행복했던 날들도 많았는데 그들은 왜 가장 부정적인 것들의 대명사로 기억에 남게 되었을까 .
아마도 가장 많이 싸운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 연인이 아니면 격렬히 싸울 일도 없다 . 싸우지 않으면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면모를 들여다 볼 일도 잘 없다 . 나이 들수록 타인과 싸울 일 같은 건 점점 사라지게 마련이다 . 친구와는 싸우느니 거리를 두게 되고 지인과는 다투느니 왕래를 끊게 된다 . 그러나 연인과는 헤어지지 않기 위해 싸워야만 한다 . 그러니 나의 지난 연인들 역시 살면서 만난 가장 이기적이고 이상하고 유치한 사람으로 나를 꼽는다 해도 별로 이상한 일은 아닐 것이다 .
연인 사이에는 성격 궁합 , 음식 궁합 , 속궁합 등등 좋은 순간을 함께 하기 위한 궁합이 잘 맞는 것도 중요하지만 , 관계의 오랜 유지를 위해서는 나쁜 순간을 맞았을 때의 ‘ 싸움 궁합 ’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이번 호에서는 잘 싸우는 기술에 대해 써보려 한다 .
대화의 원리
먹고 살기 위해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던 나는 ,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국어 강사 일이 적성에 꽤 잘 맞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국문학을 전공한 것도 아니었고 단지 학창시절에 국어를 좋아했다는 이유로 시작했던 일이었기 때문에 그 일을 직업으로 삼은 이후에는 수많은 시간을 들여 국어 공부를 다시 해야 했다 . 그렇게 이십대 중반이 되어 중 · 고등학교 국어책을 다시 펼친 후 놀랐던 순간이 몇 번 있다 . 내가 갖은 노력과 경험으로 겨우 터득한 말하기 , 듣기 , 쓰기의 기술들이 이미 교과서에 다 실려 있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
특히 ‘ 대화의 원리 ’ 에 관한 내용은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가장 첫 부분에 실려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대화를 할 때에는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말해야 하는데 구체적인 규칙으로는 부담스럽지 않게 말하기 , 내 탓으로 돌려서 말하기 , 칭찬하며 말하기 , 겸손하게 말하기 , 동의하며 말하기가 있다 .
1 . 부담스럽지 않게 말하기
‘ 부담스럽지 않게 말하기 ’ 는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는 표현 대신 이익이 되는 표현을 하라는 규칙이다 . 교과서에는 이 규칙이 적용된 대화 사례와 적용되지 않은 대화 사례도 친절히 실려 있는데 , 이 내용을 연인 사이의 대화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여 : 자기야 , 나 좀 데리러 와 .
나쁜 예 남 : 왜 ? 여 : 피곤해서 그래 . 좀 데리러 와 .
여 : 자기야 , 내가 어제 밤을 샜는데 , 미안하지만 나 좀 데리러 와줄 수 있어 ?
좋은 예
남 : 그래 , 알겠어 . 여 : 고마워 , 오늘 대실비는 내가 낼게 .
상대방에게 부탁이나 요구를 할 때에는 일방적인 명령의 표현을 쓰면 안 되고 , 위와 같이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고 부담을 주어서 미안하다는 표현 , 고마움의 표현을 넣어야 한다는 것이 이 규칙의 내용이다 . 가까운 사이일수록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선조들의 말씀을 떠올리게 되는 대화의 원리다 .
2 . 내 탓으로 돌려서 말하기
관용의 원리라고도 불리는 이 원리는 문제를 자신의 탓으로 돌려서 상대방이 관용을 베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
남 : 너는 무슨 말을 그렇게 어렵게 해 ?
나쁜 예 외국어도 아니고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 여 : 오빠가 멍청해서 못 알아듣는 거겠지 .
남 : 오빠가 이해력이 좀 부족해서 그런데 , 다시 한 번 얘기해줄 수 있니 ?
좋은 예
여 : 아니야 . 내가 설명을 잘 못 했나봐 . 다시 한 번 잘 설명해볼게 .
“ 연인 사이에는 좋은 순간을 함께하기 위한 합도 중요하지만 , 나쁜 순간을 맞았을 때의 ‘ 싸움 궁합 ’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대화에서 문제를 상대방의 탓으로 돌리면 상대방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 위의 대화에서처럼 문제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표현을 하여 상대방이 이를 너그럽게 받아들이도록 말하라는 것이 이 규칙의 내용이다 . 문제가 자신에게 있을 때 그걸 인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 중요한 것은 문제가 상대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상황에도 그것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상대의 잘못을 내 탓으로 돌리면 , 상대방은 머쓱한 기분을 느끼는 동시에 오히려 스스로 부끄러운 기분을 느끼게 될 때가 많다 . ‘ 지는 것이 곧 이기는 것 ’ 이라는 역설의 비밀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게 아닐까 .
5 6 maxim Ma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