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S HEALTH & FITNESS
여름철 식중독 예방법
여름철 가장 흔한 질병중 하나가 바로 식중독이다. 대개는 적당한 치료를 통해 회복되지만 운이 나쁘면 생명에 위협을 불러올 수도 있는 질환이 식중독
이다. 알다시피 식중독 치료는 대부분 증상을 덜어주기 위한 대증요법이다. 증세가 가벼운 경우 물을 충분히 마시면서 탈수를 막는 게 중요하다. 설사가
나오는 동안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장마로 접어든 여름철에는 음식을 잘못 먹
또한 먹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원인균을 구별할 수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식중독을 얼마든지 사전에
어 뒤탈이 날 가능성이 높다. 무더위에 습도까지 올라
도 있다. 김밥을 먹은 경우라면 포도상구균일 가능성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이라면 사
가 세균ㆍ바이러스의 증식하기에 알맞은 조건이 생성
이 높다. 김밥은 손이 많이 가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정이 다르다.
되면서 음식이 쉽게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준비하는 과정에서 손에 많이 묻어 있는 포도상구균
특히 조산아ㆍ저체중아와 당뇨, 간경화증, 암 환자
즈음이면 매번 식중독 관련 사고가 매스컴을 장식하
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달걀이나 닭고
등 면역억제제나 제산제를 복용 중인 사람들은 여름
게 된다. 문제는 항상 일이 터지고 난 뒤라야 호들갑을
기를 먹었다면 살모넬라균이 의심된다. 살모넬라균은
철에 식중독을 조심해야 한다.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떤다는 것. 뭐든지 사고가 나기 전 예방이 최고다. 여
닭의 대장 안에 많이 있다. 평소에 회, 게장, 맛살, 조개
에는 경미한 설사, 구토, 발열 등의 증세라도 곧바로
름철 대표적인 요주의 전염병인 식중독과 예방 및 대
등을 즐기다 탈이 난 환자라면 비브리오 패혈증ㆍ장염
쇼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처하는 요령을 알아두자.
에 걸렸을 확률이 높다. 증상에서도 위와 장에 국한된
날 것은 아예 안 먹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귀찮더라
것이냐 아니면 전신적이냐 하는 차이가 발생한다. 설
도 식재료를 익히고, 삶고, 끊여 먹는 게 가장 좋다. 껍
식탁위의 불청객 식중독
사만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복통을 동반하기도 하
질이 있는 과일은 괜찮다.
식중독(Food Poisoning)은 단일 질환이 아니다. 세균
고, 균이 혈관까지 침입한 끝에 고열, 오한, 쇼크 등 전
바이러스 화학물질에 오염된 상한 음식을 먹은 뒤 단시
신 증상이 생겨나기도 있다.
간 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세를 보이는 다양한 질
하지만 이런 증상들은 모두 나쁜 물질을 밖으로 배
환을 통칭하는 말이다. 크게 세균ㆍ바이러스 등 미생물
출함으로써 몸을 보호하기 위한 인체의 자연스런 방
의 침투에 의한 것과 독소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
어 작용이다. O-157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이라면 혈
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독소에는 보거 등 화학물질
변과 함께 점액이 섞여 나오고, 심한 탈수가 일어나면
이나 해산물에 의한 것이 있고 보튤리늄 등 미생물에서
서 경련과 쇼크가 일어날 수도 있다. 가장 위험한 경우
나오는 것도 있다. 식중독의 원인균은 아주 다양하다.
가 O-157 대장균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용혈성 요독 증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비브리오 등 세균과 로타, 노로,
후군이라는 합병증이다. 이는 갑작스럽게 신장기능이
노어크, 칼리키 등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최근 들어
저하되어 노폐물이 몸 안에 쌓이는 질환으로 심하면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원인균으로는 노로 바이러스,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병원성 대장균 등이 꼽힌다. 특히 노로 바이러스는 주
로 학교 급식 사고를 부른 주 원인균으로 유명하다.
식중독 치료는 대부분이 증상을 덜어주기 위한 대
증요법이다. 증세가 비교적 가벼운 경우 물을 충분히
원인균이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잠복기,
마시면서 탈수를 막는 게 중요하다. 설사가 나오는 동
합병증 등 증상도 제각각이다. 식중독 증세로 병원을
안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증상이 악화할
찾는 경우, 먹은 음식이나 증상을 꼬치꼬치 캐묻는 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먹는 것을 가급
유가 여기에 있다. 대변이나 혈액을 받아 균 배양 검사
적 줄이는 한편 설사가 멎은 뒤에도 미음이나 죽 등으
를 하게 되면 통상 48-72시간이나 걸리기 때문에 문
로 가볍게 식사를 재개하는 것이 좋다. 설사를 그치게
진을 통한 원인균 역추적으로 치료 기간을 단축하기
하기 위해 지사제를 쓰면 장 속 세균이나 독소의 배출
위한 목적이다. 감염 후 발병까지의 잠복기간은 원인
도 함께 막을 수 있어 복용하지 않는 편이 낫다. 설사
이 독소냐 미생물 침투 때문이냐에 따라 다르다. 살모
는 대부분 금세 저절로 낫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만일
넬라, 시겔라 등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경우 몸 안에 들
구토나 설사가 심하고 열이 나면서 탈수까지 계속되면
어온 뒤 증식을 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보
얼른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통 일러야 6-7시간, 늦으면 24시간 정도까지 걸린다.
평소 건강한 사람이라면 웬만한 균이 들어와도 큰
반면에 포도상구균, 보톨리늄, 바실로스 등 독소형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위산의 살균 작용에다가 인체 면
증식시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감염 후 1-6시간 이내
역기능의 작동으로 자연치유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
로 증세가 나타난다.
로 이런 사람들은 평소에 손을 자주 씻는 등 위생에
78 August 2015 SPARK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들
○노로 바이러스
이번 급식 사고의 원인균으로 지목받는 노로 바이러스는
신종 바이러스다. 주로 겨울철 설사를 일으키던 것으로,
PCR(유전자증폭기법ㆍPolymerase Chain Reaction) 등 분
자유전학적 검사법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야 비로소 정체
를 규명해냈다. 바이러스의 독성은 약한 편이어서 증상도
대체로 가볍다. 구토, 복통, 근육통 등을 보이는 경우도 있
지만 하루 이틀 정도 배 아프고 설사하다가 저절로 낫는 게
일반적이다. 반면 전염력은 강하다. 감염은 주로 물을 매개
로 이뤄지는데 오염된 식수나 채소를 먹었을 때 또는 오염
된 물질을 만진 손을 입에 대는 경우 발병하는 일이 잦다.
○살모넬라
우유, 달걀, 고기 등 오염된 동물성 식품과 식수를 통해 주
로 감염된다. 10-24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명하며 복통,
설사, 발열을 일으킨다. 유아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살모넬
라는 60도에서 20분간 가열하면 죽는다. 10도 이하에서는
증식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냉장고에서 저온으
로 보관하면 안심해도 된다.
○포도상구균
직경 1㎛ 내외 포도송이 모양의 구균. 흔한 병원체로 사람 4
명 중 1명꼴로 보균자다. 발육 최적온도는 37도며, 열에 저항
성이 높은 편이다. 공기 중에서도 오래 생존한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수분이 많은 크림, 샐러드, 육류(햄 등의 돼지고기
제품) 등이 원인 식품. 포도상구균은 증식 이전에 균이 내는
독소 자체가 문제가 되기 때문에 잠복기가 2시간 이내로 짧
다. 장 독소는 내열성이므로 끓여 먹어도 안심할 수 없다.
○비브리오장염 식중독
일본에서는 여름철 식중독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식중독균이다. 어패류와 해산물을 날로 먹는 식생활을 가
진 우리나라 사람들도 조심해야 한다. 먹은 후 6-48시간
이내 급성 설사 증세를 보이지만 대개 24시간 이내에 자연
히 회복된다. 생선과 어패류가 원인 식품. 7-9월에 집중 발
생하고, 중증일 때에는 점액변과 점혈변을 보여 이질로 혼
동할 수도 있다. 비브리오는 60도로 5분간 가열하면 죽는
다. 수돗물 등 민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므로 잘 씻어먹으
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