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도 방파제의 테트라포드 사이나 무너진 테트라포드를 노리면 우럭은 비교적 잘 낚인다.
아주 쉬운(?) 물고기
범용 장비와 지그헤드만으로 도전 가능
1~2월은 본격적인 저수온기, 즉 어한기다. 낚시꾼에게는
우럭루어낚시라는 말은 다분히 생소하다. 왜냐하면 대체
그 어느 때보다 잔인한 계절이다. 겨울밤을 호령하던 호래
적으로 낚시의 장르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상어종을 특
기의 물총 소리도 잦아들면 마땅히 낚아 볼 만한 고기가 없
정지어 낚을 수 있을 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럭이 따
다. 확률 낮은 상황에 먼 곳으로 원정을 가는 모험도 하고
로 낚시 장르화 되지 못한 것은 락피시 개체 중에서도 가장
싶지 않다. 이럴 때 주목하는 대상어종이 바로 우럭이다.
흔하고 쉽게 낚여서다. 굳이 전용 장비나 채비를 선택하지
우럭은 쉬운 고기다. 특별히 기술이 필요하다거나 전용
않아도 가능한 낚시이므로, 낚시의 장르화를 선도해야 하
장비가 없어도 낚시를 할 수 있다. 채비가 비싸지도 않아
는 조구업체나 각종 매체에서 우럭루어낚시라고 따로 떼
진입 장벽이 거의 없다. 개체수도 많은 편이다. 수산진흥원
놓을 필요성이 없다.
을 비롯한 어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치어방류 사업에
다른 측면에서 볼락루어낚시가 반드시 볼락만을 공략하
조피볼락(우럭)은 꼭 들어간다. 회유를 하지 않고 연안 정착
는 거냐고 물어본다면 답은 정해져 있다. “볼락을 낚을 확
성을 가지고 있어 치어방류를 하면 효과가 매우 좋은 편이
률을 높인 채비다.”
다.
볼락루어낚시 채비에도 우럭이 낚이고, 전갱이가 낚이
아마 그런 이유로 아주 열악한 환경을 가진 바다가 아니
고, 심지어 감성돔이나 망상어, 청어, 갈치 등 온갖 고기가
라면 어디에서나 우럭은 낚인다. 씨알이나 마릿수에 욕심
다 낚인다. 볼락루어낚시가 특별히 대표 장르화가 된 것은
이 없거나, 낚으면 반드시 먹어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라
인기가 많아서다.
깨끗한 수질을 가진 포인트를 고집하지 않는다면 우럭을
못 낚을 곳은 없다.
① 로드와 릴 | 7.0~8.0피트 길이의 UL~L 파워를 가진 로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