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first Magazine Issue 11: If/만약 | Page 25

같은 하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그녀와 함께 런던을 떠 난다. 사고가 난 그 장소에 가지 않는다면, 싸우지 않는다 면 그녀의 죽음을 피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었던 것 이다. 이 영화 속 이안의 마음은 아마 같은 상황이라면 모든 사람이 그와 같은 행동을 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안이라 는 캐릭터의 보편성을 통해 영화는 보다 많은 사람에게 공 감을 얻을 수 있고 감동을 줄 수 있던 것이다.
어제도, 다시 돌아온 어제도 택시기사가 반복적으로 등장 하면서 이안의 행동에 변화를 촉구한다. 사만다의 졸업 콘 서트를 가기 위해 이안이 택시를 탔을 때도, 그녀의 죽음 을 본 후, 그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기사에게 물 었을 때에도 택시기사는 똑같이 대답한다.“ 그녀를 가진걸 감사하며 살고, 계산 없이 사랑하라.” 그의 대답이 특별한 가? 아니다, 오히려 진부하다면 진부할 정도로 당연한 말이 었다. 사랑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알고 있는 말이기 도 했다. 하지만, 너무 익숙해서 잊고 살아가는 것이었다. 영화는 택시기사의 반복적인 등장을 통해 우리가 잊고 있 던 사랑에 대한 참된 자세를 강조하고, 동시에 보편성을 확 보해 메시지가 사람들에게 깊게 받아들여지도록 하는 역할 을 한다.
영화는 사람들의 공감을 사는 보편성뿐만이 영화는 기막힌 특수성 또한 가지고 있다. 우선, 사랑하는 사람이 눈앞에서 죽을 확률은 상당히 적기 때문에 이안이 사만다를 잃는 모 습도 일종의 특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택시기사가 말하지 않아도 애인과의 문제가 있다는 걸 알아차릴 만큼 눈치가 빠르다던가, 남의 연애사에 끼어들 만큼 오지랖이 넓을 확 률도 크지 않다. 영화의 설정 자체도 특수하다. 사람들은 종 종 무언가를 잃은 후에야 소중함을 깨닫지만 항상 그 깨달 음은 늦는다. 후회를 할 때 즈음이면, 되돌릴 수 없고 되찾 을 수 없게 된다. 영화는 특수하게 다른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는 기회를 이안에게 한 번 더 준다. 사만다의 소중함을 깨 닫고 그녀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고 그녀의 죽음을 막기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어제를 반복하게 해준 것이다. 이러 한 판타스틱한 설정은 영화의 특수성을 불어넣는다.
의 질타를 면하지 못하였을 이안의 무신경한 태도에 설득 력을 부여하는 장면은 물론, 반복을 통해 주는 깨달음, 그리 고 무엇보다 현실적이고 시원한 엔딩까지, 영화는 단순한 멜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플롯에 있어서 허점을 찾기 어 렵다. 쓸데없는 장면 하나, 괜히 덧붙인 대사 하나 없이 깔 끔하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한마디, 한마디 주옥 같은 명대 사까지 갖추고 있다. 택시기사의 명대사인“ 그녀를 가진 것 에 감사하고 계산 없이 사랑하시오” 라던가 이안이 사만다 에게 내일 죽는다면 무엇을 하고 싶은가를 물었을 때 그녀 의 대답인“ 뻔한걸 왜 물어, 답은 하나인데. 자기랑 보내야 지” 라던가.‘ 사랑에 정답은 없다. 모든 사랑의 방식이 정답 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히 잘못된 방법은 있 다.’ 영화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자연스럽게 엮어 이러한 메 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만약, 당신의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알게 된다면? 만약 당신이 그것을 알게 된다 하더라도, 그 때는 이미 너무나 적 은 시간이 남아있을 것이다. 지금, 당신이 이 글을 읽는 순 간, 당신의 머리에 떠오르는 사람에게 오늘은 사랑한다고 표현해보는 것이 어떨까? 그것이 이 글을 한 글자, 한 줄 더 읽는 것보다 값진 일이다. 당신들은 늦지 않기를 바란 다. 부디 남은 시간을 후회스럽게 만들지 않기 바라며, 글 을 마친다.
주인공 이안 또한 특수한 가정환경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사만다와 런던으로부터 도망치면서, 자신의 고향으로 향한 다. 자신의 아버지의 이야기를 하며, 그는 다른 사람 때문에 휘둘리는 인생이 싫었다고 고백한다. 그의 말을 통해 그가 평생 동안 다른 사람에게 온전히 마음을 드러내지 못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즈니스 관계 이외의 사적인 상황에서 타인을 대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그의 태도가 사만다에게 도 적용되어 이안은 그녀에게 상처를 줄 수 밖에 없었던 것 이다. 성공한 비즈니스맨이 지닌 아픈 가정환경, 보통 로맨 스 영화에서는 처음부터 완벽한 백마 탄 왕자님이 등장하 니 그 또한 보편적인 남자 주인공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 다. If only 에서 특수성은 되돌릴 기회가 없는 사람들에게 대리만족을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영화의 유명세에 한 몫 을 하고 있다. 또한 자칫 진부할 수 있는 로맨스 영화에 생 기를 불어넣어 주는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If only 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잘 녹여낸 영화임과 동시에 탄탄한 플롯을 가지고 있다. 영화의 전반부에서 뭍 여성들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