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KTB | Page 12

아키노 정부 1987년 2월 필리핀 신헌법에 대한 국민 투표에서 아키노 정부는 76.3%의 압도적 지지를 얻고, 3권분립의 대통령 중심제에 대통령의 임기 6년, 중임 불가를 규정한 새 헌법을 발표했다. 하지만 공산당과의 소모적인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인 공산당 합법화 등의 공산주의에 대한 유화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군부 쿠데타가 반발하고 우파 세력의 반 발이 거세지자 아키노 대통령은 강경 정책으로 선회하였다. 좌파-공산세 력도 이에 강경으로 대처했다. 외교정책은 독립 후 친미 정책으로 일관했 다. 1966년에 아시아태평양이사회(ASPAC)에 가맹하고, 1967년에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에 가입했다. 1970년대부터 독립 외교 를 표방하고 중국-소련과의 광범위한 관계 수립, 동남아 제국 및 일본과 의 관계 유지, 미국과의 균형관계 모색 등을 골자로 하는 신외교정책을 1973년 선언했다. 아키노 이후 정치변화 1992년 대선에서는 코라손 아키노의 지명을 받은 라모스가 당선됐으 며 1998년 5월에는 조지프 에스트라다가 당선되었다. 2001년 1월 아로요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대외 관계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은 사바 주 일부 지역에 관한 분쟁을 외교문제화하 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대한관계 대한민국과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1년 후인 1949년에 외교관계를 맺 었으며 이듬해(1950년) 한국전쟁 때는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다. 치안 필리핀의 치안은 불안 요소가 존재한다. 총기 소지가 자유로운 반면에 경 찰력은 상당히 약한 수준이라 위험 요소가 많다. 경찰은 마을의 게이트를 지키거나 경찰서와 순찰자를 이용하여 거리 치안과 범죄를 예방하나, 그 러나 작은 범죄(소매치기, 사소한 다툼) 등은 처리하지 않고 있다. 그러 므로 몇몇 경제력이 넉넉한 이들은 안전요원을 고용한다. 안전요원은 가 게주와 계약을 맺고 손님과 가게를 보호한다. 가끔씩 범죄가 일어날 경우 가지고 있는 총기를 이용해 관광객이나 행인을 보호하기도 한다. 컨테이 너 박스나 가게 앞에 서서 문을 열어주거나 화장실을 안내해주는 도시 안 내원 역할도 하고 있다. 그들의 셔츠 주머니에는 Fisher, Security 등 안전 요원을 뜻하는 단어가 쓰여있다. 그러나 이들이 지키는 도시에도 관 광객이나 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범죄가 꾸준히 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치 안 상태는 좋다고 할 수 없다. 군대 원칙적으로는 징병제이다. 2009년 1월 31일부터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모병제(지원제)이나, 대학 졸업자는 예비군에 소속되기 때문이다. 18~25세를 대상으로 징병하였다. 장교로는 21~29세까지 모집한다. 미혼 필리핀 시민권자 (기혼 시민권자나 외국인 입대 금지)이면 남녀 모 두 입대 가능하다. 이후 예비역으로는 56세까지 소속된다. 1946년 7 월 4일 미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한 이후, 근래에는 거의 예비역으로만 소집된다. 2010년 이후 헌법 상 완전히 폐지되었다. 미흡한 총기정책 이 나라는 미국처럼 총기를 소지할 수 있는 나라이다. 그러나 총기 소지 에 대한 마땅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아 어린이들도 일반 총포점에서 탄약 을 살 수 있다. 총포점은 큰 상가에서도 볼 수 있을 만큼 많고, 가격도 비 싸지 않아서 더욱 위험하다. 택시 탑승이나, 밤늦게 거리에서 산책하는 일은 위험하며, 위협하는 일이 있어도 실랑이를 해서 상대방의 감정을 나 쁘게 해서는 안 된다. 도시 치안 잘 알려진 도시는 경찰들이 순찰을 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교육 수준 등 이 높아 범죄율이 낮으며, 마을 형태로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구 나 출구 쪽에는 언제나 검문소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사람들을 일일이 검색하 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병원, 은행, 백화점이나 가게 등에서는 사 설 경비원들이 보초를 서고 있으며, 이들은 총을 소지하고 있다. 출입구에선 언제나 총기 소지 여부를 확인하며, 어느 곳에서나 총을 소지하고 있는 사설 경비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경제] 농업 가장 중요한 산업은 농업이다. 전(全) 노동 인구의 55% 이상이 농업에 종사 하는 국민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동시에 수출용 작물을 재배한다. 쌀, 옥수수 는 주식이며 아바카, 설탕, 담배, 코코넛은 중요한 수출품이다. 국민 생활의 기반이라고 둘 수 있는 농업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낮은 생산성이다. 낮은 생 산성의 원인 중 하나는 지주와 소작인의 관계에 있다. 수많은 소작인들이 소 작으로 생산한 곡물의 반을 지주에게 바쳐야 하는 착취를 당하고 있으며, 특 히 곡창지대인 중부 루손에서 소작인들의 수가 압도적인데 이들의 빈곤은 사 회 불안의 큰 요인이 되고 있다. 공업 수출형/고용 증진형의 공업화가 1960년대 이후의 과제로 대두하었으며 계 속되는 개발 계획에서는 경제 기반 정비, 투자 장려법, 중간 자본재 산업/노 동 집약 산업/중소 기업/지방 산업의 육성이 중점적으로 추진되었